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83건)

성현(成俔)-光州客舍東軒記 허백당문집 제3권
광주 객사 동헌기〔光州客舍東軒記〕 - 허백당문집 제3권 一道之重莫如州一邑之居莫如館舍州者邑之大者而館舍所以待衆賓庇群旅也然而館有東西軒東乃貴者所寓而觀察使聽訟之所則牙節建焉案牘委焉人民萃焉必壯其廉陛使人儼然瞻望而畏之也使華賓客讌飮之地則張歌管羅樽罍上可以容揖讓周旋下可以容進退步武必廣其堂宇然后允合其
국윤미술관, 이호국 전지은 홍림창작스튜디오 결과발표전
국윤미술관(관장 윤영월)은 홍림창작스튜디오 제1기 입주작가 두 번째 결과발표전 ‘무등산에 드리운 예술의 무지개’ 이호국, 전지은展을 갖는다. 7월 20일부터 8월 2일까지 갖는 이번 결과발표전은 홍림창작스튜디오의 첫 레지던스 프로그램으로 지역의 대표 아이콘인 무등산을 주제로 예술가의 창작활동을 지원한 레지던스
김종직-光州無等山
蒼蒼瑞石聳秋空  푸르고 푸른 서석산 가을 하늘에 솟았는데 十日尋常在眼中  보통 십 일 동안을 안중에 들어온다네喜慶樓前更回首  희경루 앞에서 다시 머리 돌려 바라보니 雲烟纔罅見靈宮  구름 연기 잠깐 걷히자 영궁이 보이누나烟雨冥濛積翠寒  이슬비 자욱이 내려 산 기운 차갑더니 今朝日出露
김종직-光州人, 射其判官禹允功中臂 允功奔和順
武珍遺俗故凶奸 童子能探赤白丸豈意治朝猶犯分 初聞衰髮尙衝冠滄浪自致群狙怒 箠楚將成百室殘弭節鳳笙亭下路 轉移無術愧王官-점필재집(佔畢齋集)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자는 효관(孝盥), 계온(季昷)이며 호는 점필재(佔畢齋)이다.
정소파 시비
광주시 북구 운암동 문화예술회관 국악당 앞1998년정소파 시비는 광주문화예술회관에 있다. 1층 주차장에서 후문 출입구 방향으로 가다보면 2층으로 올라가는 통로를 막 지나 오른편에 있다. 얼른 지나치면 잘 보이지 않는다.정소파(鄭韶坡)의 본명은 현민(顯珉)이며 광주 사직 공원 밑 사동에서 1912년 2월 5일 태어났다. 1
김만옥시비
광주 북구 운암동 중외공원 어린이공원지구 내1998년김만옥 시비는 북구 광주시립미술관에서 광주비엔날레 가는 방향 중간쯤 왼편에 있다. 반대편에 김남주 시비가 보인다. 시는 '딸아이의 능금'을 적었다.봄비가 다녀간 담장 밑 양지쪽에어느 날 딸아이가 능금씨 심는다 봄이 다 가고 여름이 와도싹은 나지 않고 가슴
광주 서구문화원, 제15회 전국시낭송대회 대상 한현옥
22일 빛고을국악전수관 공연장에서 광주 서구청이 주최하고 광주 서구문화원이 주관한 제15회 전국애송시낭송대회에서 영예의 대상에 전남 나주의 한현옥씨가 수상했다. 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은 사랑과 설렘, 이별, 기쁨과 슬픔 등을 표현한 다양한 시를 낭송한 이날 대회에서 전숙 시인의 ‘엄마의 강’을 낭송한 한
고정희 시비 '상한 영혼을 위하여'
해남 출신의 고정희(1948~1991) 시비는 북구 광주문화예술회관 내에 있다.  이 시비는 박홍원, 범대순, 문도채, 손광은, 전원범, 김종, 정윤태, 신동언 등이 건립위원이면에는 그의 흉상과 함께 1983년에 쓴 「상한 영혼을 위하여」 전문이, 뒷면에는 그의 행적이 새겨져 있다. 시인을 소개한 글은 김종이 썼고, 글씨는
효열부최씨의적비
광주시 남구 월성동 573. 학촌마을1978년이 효열부최씨의적비(孝烈婦崔氏懿蹟碑)는 김종억(金鍾億)의 처로 효열의 사실을 기록한 비이다. 광산김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번역문은 다음과 같다.옥은 그 자체가 부서질지라도 그 흰빛은 변하지 않은 것이요, 대나무는 그 자체가 불에 탈지라도 그 절계를 훼손하
필문이선제부조묘
광주시 남구 원산동 535-1필문이선제부조묘는 조선초의 문신인 필문(蓽門) 이선제(李先齊.1390-1453)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이다. 나라에 공훈세운 것을 기리어 신주를 영원히 모시도록 하는 부조지전(不祧之典)으로 건립한 사당이 부조묘이다.광주시 민속자료 제7호이다. 1843년(중수). 부조묘는 포충사 뒤쪽 산기슭에
중허서예원 제26회 탐고연서회전, 20일까지
중허서예연구원(원장 홍동의) 제 26회 탐고연서회전이 15일~20일까지 메트로갤러리에서 열린다.탐고연서회(회장 김용산)는 중허 홍동의 선생 문하생 모임으로 지난 93년 남도예술회관에서 창립전을 가진 이래 매년 회원전을 열어오고 있다. 이번 회원전에는 회원 67명의 작품과 홍동의 선생의 찬조작품이 1,2점씩 전시된다.
이한원-세심당이선생유적비
광주시 남구 구만산길 34(원산동)1990년, 2005년세심당이선생유적비(洗心堂李先生遺蹟碑)는 1990년에 세웠다가  을축년에 훼손되어 2005년에 다시 건립했다. 호남인물지 광주편에는 자(字)는 청경(淸卿), 호(號)는 세심당(洗心堂), 본관은 광산(光山)고려 충숙왕 때 문과상서좌복야(文科尙書左僕射) 순백(珣白)
삽봉 김세근金世斤(1550~1592)
김세근金世斤(1550~1592)은경남 함안군 마륜동 출생으로 본관은 김해이며 자는 중빈重賓, 호는 삽봉揷峰이다. 김해인으로서 절효공 극일의 후손으로 1550(명종5년)년 4월 16일 출생하였다. 임진왜란 때 스승 중봉 조헌선생의 격문을 받고 의병을 일으켰으며 제봉 고경명의 의병과 합세한 금산전투에서 순군한 의병부장
서창나루
서구 서창동 603-2 일대서창나루는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에 있었다. 현재 서창교라는 교량이 있었던 일대이다. 조선시대의 기록에 극락진이라 했던 나루가 바로 서창나루를 말한다.극락진은 현재 광주~송정리를 잇는 도로인 광송도로가 지나는‘극락교’라는 다리 때문에 극락교 자리에 극락진이 있었을 것이란 혼동을 일으
풍암호수
서구 풍암동 432풍암楓岩호수는 1956년 농업용 목적으로 축조했다. 면적은 244,587㎡이고 저수량은 30만 톤이다. 1999년 국토공원화사업의 일환으로 수변생태공원을 조성하였고 풍암지구가 대거 조성되면서 금당산이나 중앙공원과 함께 시민들의 건강을 다지는 공간이자 휴식처가 되고 있다. 도심 속 호수가 대개는 각종 건
운천호수(서호)
서구 운천로 165(쌍촌동) 일원운천호수의 역사는 일제강점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강점기 초기 상무대와 민력동 일대의 논에 물을 대는 역할을 했다. 상무대와 민력동 일대에 있는 수답水畓으로 물을 끌어대는 관개용 저수지로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이 방죽 위 금호동으로 가는 길 우측 깊숙한 산골짜기에 작은 규
탐진후인최원봉 김해후인김종우 송덕비
광주시 서구 용두동 산83-1 봉산정사 입구1968년탐진 최원봉崔元鳳과 김해 김종우金鍾堣의 은덕을 기리는 비로 1968년 4월에 봉학마을 봉산사 입구 못미처서 오른 편에 세워졌다. 뒷면의 송덕시 내용으로 봐서는 봉학마을과 관련한 인물로 평가된다.비의 뒷면에는 정부룡 글과 O효식의 글씨로 된 송덕시가 써있다.황금평야
김용훈-야은거사 김해김공용훈 유적비명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야은거사 김해김공 용훈 유적비명은 서창한옥문화관과 야은당 사이 주차장 한쪽에 있다. 야은野隱 김용훈金容燻(1876~1948)의 9대조가 삽봉 김세근 장군이다. 야은공의 덕행과 후학 양성을 위해 노력한 과정을 비문에 새겼다. 글은 김종金鍾 전 조선대 교수(시인)이 썼다.
김세근 장군 훈적비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임진왜란 의병장 삽봉 김세근 장군 훈적비勳積碑는 비문에 김해 가락국 수로왕의 제 60세손으로 성장과정과 임진왜란에 참여하여 금산전투에서 순국하고 부인도 목숨을 끊은 내용이 담겨 있다. 2000년에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장 오성근吳晟根과 학산사보존회장 김종훈金鍾燻 등이 서창한옥문화관
학산사
광주시 서구 서창동 1서구 서창동 불암마을 외진 곳에 있는 학산사鶴山祠는 조선 중기 문신이며 의병장이었던 삽봉揷峯 김세근金世斤(1550∼1592)을 모시는 사우이다. 경내에는 학산사와 경의당景義堂, 창렬문, 학산사 묘정비 등이 세워져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22일에 춘향제를 지낸다. 사우는 정면 4칸의 측면 2칸으로 내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